쿠르트 아이스너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쿠르트 아이스너는 1867년 베를린에서 태어난 독일의 저널리스트, 정치인, 혁명가이다. 그는 철학을 공부하고 저널리스트로 활동하며 빌헬름 2세 황제를 비판하여 투옥되기도 했다. 독일 사회민주당에 가입하여 공화주의와 사회 민주주의를 위해 활동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반전 운동을 주도했다. 1918년 바이에른 혁명을 통해 바이에른 인민 공화국을 선포하고 초대 총리가 되었으나, 1919년 암살당했다. 그의 암살은 바이에른 소비에트 공화국 수립의 계기가 되었으며, 그는 독일 민주주의와 사회 개혁, 평화 운동의 선구자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바이에른 평의회 공화국 - 에른스트 톨러
에른스트 톨러는 독일의 표현주의 극작가이자 정치 운동가로, 제1차 세계 대전 참전 후 평화주의자와 사회주의자로 전향하여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에 활동하며 바이에른 소비에트 공화국 수립에 참여했고, 전쟁과 노동자 소외 문제를 다룬 대표작을 남겼으며, 나치 정권의 탄압을 피해 망명 생활을 하다 생을 마감했다. - 베를린 출신 정치인 - 귄터 기욤
귄터 기욤은 동독 슈타지 소속 스파이로 서독 빌리 브란트 총리의 비서로 활동하며 기욤 사건을 일으켰고, 간첩 혐의로 체포된 후 동서독 스파이 교환으로 동독으로 돌아가 영웅 칭송을 받았으며, 그의 사건은 브란트 총리 사임으로 이어져 냉전 시대 중요 사건으로 기록되었다. - 베를린 출신 정치인 - 베아테 클라르스펠트
베아테 클라르스펠트는 나치 전범 추적 활동에 헌신한 독일 출신 활동가로, 남편 세르주 클라르스펠트와 함께 나치 전범을 법정에 세우는 데 기여했으며, 쿠르트 키징거 총리 뺨을 때린 사건, 나치 전범 소재 추적, 나치 부역자 공직 진출 저지 등의 활동을 펼쳤고, 2012년 독일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기도 했다. - 독일의 암살된 정치인 - 카를 리프크네히트
카를 리프크네히트는 독일의 사회주의 혁명가이자 정치인으로, 제1차 세계 대전 중 전쟁 반대 운동을 이끌고 독일 사회주의 공화국 수립을 시도했으며 스파르타쿠스 봉기 진압 과정에서 살해당해 독일 좌파 운동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독일의 암살된 정치인 - 마티아스 에르츠베르거
마티아스 에르츠베르거는 독일 제국의 정치가이자 재무장관으로, 제1차 세계 대전 종전 과정에서 콩피에뉴 휴전 협정에 독일 대표로 서명한 인물이며, 전후 바이마르 공화국에서 재정 개혁을 추진했으나 우익 세력과의 갈등 속에 암살당했다.
쿠르트 아이스너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직책 | 바이에른 인민 공화국의 장관 |
임기 시작 | 1918년 11월 8일 |
임기 종료 | 1919년 2월 21일 |
이전 | 오토 리터 폰 단들 (각료회의 의장) |
이후 | 요하네스 호프만 |
출생일 | 1867년 5월 14일 |
출생지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프로이센 왕국 |
사망일 | 1919년 2월 21일 |
사망지 | 뮌헨, 바이에른 |
국적 | 독일 |
정당 | 독립사회민주당 (1917–1919) 독일 사회민주당 (1898–1917) |
개인 정보 | |
이름 | 쿠르트 아이스너 |
로마자 표기 | Kureuteu Aiseuneo |
직업 | 작가, 저널리스트, 정치인 |
2. 생애와 경력
쿠르트 아이스너는 1867년 5월 14일 베를린에서 유대인 상인 에마누엘 아이스너와 헤드비히 레벤슈타인 사이에서 태어났다. 1892년부터 1917년까지 화가 엘리자베스 헨드리히와 결혼하여 다섯 자녀를 두었고, 이혼 후 편집자 엘리제 벨리와 결혼하여 두 딸을 두었다.
철학을 공부한 후 마르부르크에서 언론인으로 활동했다. 1890년부터 1895년까지 ''프랑크푸르터 차이퉁'' 편집자로 일하며 빌헬름 2세 황제를 비판하는 기사를 써서 9개월 동안 감옥에 갇히기도 했다.[5] 1898년 독일 사회민주당(SPD)에 가입했고, 1900년 빌헬름 리프크네히트 사망 후 ''포어베르츠'' 편집자가 되었으나, 1905년 마르크스주의를 지지하는 편집 위원회 다수에 의해 사임해야 했다.[6] 이후 주로 바이에른에서 활동했지만, 독일의 다른 지역을 순회하기도 했다.[7][8] 1907년부터 1910년까지 뉘른베르크의 ''프렝키셰 타게스포스트'' 수석 편집자로 일했고, 이후 뮌헨에서 프리랜서 저널리스트로 활동했다.
1917년 제1차 세계 대전 중 독립사회민주당(USPD)에 가입했고, 1918년 무기 노동자 파업을 선동한 혐의로 반역죄 유죄 판결을 받아 슈타델하임 감옥에서 9개월을 보냈지만, 그해 10월 사면으로 석방되었다.[9]
석방 후, 아이스너는 바이에른 군주제를 전복한 혁명(''독일 혁명'' 참조)을 조직했다. 1918년 11월 8일 바이에른을 자유 주이자 공화국인 바이에른 인민 공화국으로 선포하고 초대 바이에른 주 총리가 되었다. 1918년 11월 23일, 1914년 7월과 8월 베를린의 바이에른 전권 대사로부터 받은 문서를 공개했는데, 이 문서는 전쟁이 "미친 소수의 프로이센 군인"뿐만 아니라 "동맹" 산업가, 자본가, 정치인 및 왕자들에 의해 발생했음을 증명한다고 생각했다.[10] 베른에서 열린 베른 사회주의자 국제 회의에서 그는 독일이 제1차 세계 대전을 일으킨 책임을 인정하지 않은 온건한 독일 사회주의자들을 비판했다. 이러한 그의 언행은 많은 독일 국민들의 극심한 미움을 샀다.[5]
2. 1. 초기 생애
쿠르트 아이스너는 1867년 5월 14일 베를린에서 유대인 상인 에마누엘 아이스너와 헤드비히 레벤슈타인의 아들로 태어났다.[4]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에서 철학과 독일학을 공부했으며, 학생 시절에는 극작품 비평 등을 했다. 졸업 후 프랑크푸르터 신문 등 여러 신문의 편집자로 활동하며 언론인 경력을 쌓았다.[22]1892년 화가 엘리자베스 헨드리히와 결혼하여 다섯 자녀를 두었으나 이후 이혼했다. 이후 편집자 엘리제 벨리와 재혼하여 두 딸을 두었다.[4]
프리드리히 니체 비판 논문으로 주목받았으며, 빌헬름 2세를 공격하는 기사를 써 불경죄로 9개월간 투옥되기도 했다.[22] 1898년 독일 사회민주당에 입당, 기관지 ''Vorwärtsde''(포어베르츠) 편집원이 되었다. 아이스너는 이마누엘 칸트의 계몽주의와 마르크스주의를 통합한 오스트리아 마르크스주의와 비슷한 사상을 가졌다.[22] 1900년 편집장 빌헬름 리프크네히트 사망 후 그의 첫 전기를 썼다.
1905년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의 수정주의를 둘러싼 편집부 내 갈등으로 아이스너는 교조주의 편집부를 떠났다. 1907년 뉘른베르크로 이주하여 사회민주당 계열 신문 편집원이 되었다. 그는 "프로이센인보다 바이에른인이 더 자유로운 사상을 가졌다. 프로이센의 규율주의는 나와 맞지 않았다"라고 회고하며 뮌헨의 신문으로 옮겨 저널리스트, 작가, 연극 평론가로 활동하며 지식인들과 교류했다. 뮌헨에서 만난 여성과 함께 살았고, 1917년 전처와 이혼이 정식 성립된 후 재혼하여 딸 2명을 낳았다.[22]
2. 2. 사회주의 언론인
1890년부터 1895년까지 프랑크푸르터 차이퉁의 편집자로 활동하며 빌헬름 2세 황제를 비판하는 기사를 썼고, 이로 인해 9개월 동안 감옥에 갇혔다.[5] 1898년 독일 사회민주당(SPD)에 입당하여 기관지 포어베르츠(''Vorwärts|포어베르츠de'')의 편집자가 되었다. 아이스너는 이마누엘 칸트의 계몽주의와 마르크스주의를 통합한 오스트리아 마르크스주의와 비슷한 사상을 가지고 있었다. 1905년 에두아르트 베른슈타인의 수정주의를 둘러싼 갈등으로 포어베르츠 편집부를 떠났다. 1907년부터 1910년까지 뉘른베르크의 프렝키셰 타게스포스트의 수석 편집자로 활동했고, 이후 뮌헨에서 프리랜서 저널리스트가 되었다.2. 3. 제1차 세계 대전과 반전 운동
1914년 제1차 세계 대전 발발 초기에는 전쟁에 긍정적이었다. 그러나 전쟁이 참호전으로 이어져 장기화되자 평화주의로 돌아섰다. 처음에는 전쟁의 책임을 러시아 제국과 차르 체제에 있다고 믿었지만, 1915년경부터 독일의 전쟁 책임을 주장하며 사회민주당 지도부의 전쟁 지지 정책에 반대했다.[22] 클라라 체트킨, 알베르트 아인슈타인 등과 함께 반전 단체인 "신 독일 연맹"에 가입했다.[22] 1917년 사회민주당에서 분리된 반전파가 결성한 독립사회민주당에 입당하여 바이에른 지부 대표가 되었다.[22] 1918년 뮌헨의 노동자 파업을 선동한 혐의로 반역죄를 선고받아 수감되었다가[22] 같은 해 10월 석방되었다.[9]3. 바이에른 혁명과 공화국 수립
1918년 10월, 아이스너는 형무소에서 석방되었다.[23] 그는 패전과 독일 혁명의 혼란 속에서 바이에른 왕가를 타도하려는 혁명을 조직했다.[21] 11월 7일, 뮌헨에서 대규모 집회를 열었고, 다음 날인 11월 8일에는 노동자·병사 레테(평의회) 회의에서 왕정 폐지를 결정했다. 이 회의에서 사회민주당 및 독립사회민주당으로 구성된 바이에른 인민국(Volksstaat Bayernde, 바이에른 자유 인민국(Freier Volksstaat Bayernde)) 건국을 선언했다.[24] 루트비히 3세는 오스트리아로 망명하여 무혈 혁명이 성공했다.
아이스너는 약 100일 동안 바이에른 인민 공화국의 총리 겸 외무장관 자리에 있었다.[24] 그러나 이 내각은 제헌 선거를 관리하는 내각의 성격이 강했고, 실제 개혁은 선거 이후로 미뤄졌다. 쟁점은 의회 민주주의를 채택할 것인지, 아니면 더 급진적이고 직접 민주주의에 가까운 레테 공화국 체제로 할 것인지였다. 아이스너는 중도파 입장이었으며, 레테를 의회의 조정·자문 기관으로 인정했지만, 행정권이나 입법권은 부여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했다. 그는 레테를 "국민에게 민주주의를 정착시키는 과도적 조치"로 여겼으며, "혁명은 민주주의 그 자체가 아니다. 혁명은 민주주의를 쟁취하기 위한 것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하루 8시간 노동, 여성 참정권 등 사회 개혁 정책을 추진했으나, 실현에 어려움을 겪었다. 분리주의적 외교 정책을 추구하여 독일국 임시 총리 프리드리히 에베르트와 대립했고, 민족주의자들로부터 "배신자"로 비난받았다. 독일 공산당의 봉기를 진압하고 공산당 지도자들을 체포했다가 석방하는 과정에서 좌익으로부터도 비판받았다.
3. 1. 혁명의 시작
1918년 10월, 아이스너는 형무소에서 석방되었다.[23] 그는 패전과 독일 혁명의 혼란 속에서 바이에른 왕가를 타도하려는 혁명을 조직했다.[21] 11월 7일, 뮌헨에서 대규모 집회를 열었고, 다음 날인 11월 8일에는 노동자·병사 레테(평의회) 회의에서 왕정 폐지를 결정했다. 이 회의에서 사회민주당 및 독립사회민주당으로 구성된 바이에른 인민국(Volksstaat Bayernde, 바이에른 자유 인민국(Freier Volksstaat Bayernde)) 건국을 선언했다.[24] 국왕 루트비히 3세는 오스트리아로 망명하여 무혈 혁명이 성공했다.3. 2. 바이에른 인민 공화국 총리
1918년 10월, 독일 혁명의 혼란 속에서 아이스너는 바이에른 왕가 타도를 외치는 혁명을 조직했다.[21] 1918년 11월 7일 뮌헨에서 대규모 집회를 열고, 다음 날인 11월 8일 노동자·병사 레테(평의회) 회합에서 왕정 폐지를 결정했다. 그는 사회민주당 및 독립사회민주당으로 구성된 바이에른 인민국(Volksstaat Bayern), 바이에른 자유 인민국(Freier Volksstaat Bayernde) 건국을 선언했다.[24] 국왕 루트비히 3세는 오스트리아로 망명하여 무혈 혁명은 성공했다.아이스너는 약 100일 동안 바이에른 인민 공화국의 총리 겸 외무장관 자리에 있었다.[24] 그러나 이 내각은 제헌 선거를 관리하는 내각의 성격이 강했고, 실제 개혁은 선거 이후로 미뤄졌다. 쟁점은 의회 민주주의를 채택할 것인지, 아니면 더 급진적이고 직접 민주주의에 가까운 레테 공화국 체제로 할 것인지였다. 아이스너는 중도파 입장이었으며, 레테를 의회의 조정·자문 기관으로 인정했지만, 행정권이나 입법권은 부여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했다. 그는 레테를 "국민에게 민주주의를 정착시키는 과도적 조치"로 여겼다. "혁명은 민주주의 그 자체가 아니다. 혁명은 민주주의를 쟁취하기 위한 것이다"라는 그의 말에 이러한 그의 생각이 잘 나타나있다.
3. 3. 정책과 좌절
아이스너는 하루 8시간 노동, 여성 참정권 등 사회 개혁 정책을 추진했으나, 산업계, 은행, 왕당파 관료, 법조계의 저항으로 실현에 어려움을 겪었다. 보수적인 가톨릭 교회와도 갈등을 빚어, 추기경으로부터 "신의 분노를 살 것"이라는 비난을 받았다.외교 정책에서는 분리주의적 지향을 보이며, 오스트리아나 체코슬로바키아와의 지역 연합을 추구하고 바이마르 헌법 발효에 각 주의 주민 투표를 거쳐야 한다고 주장했으나, 정부 내 반대로 실현되지 못했다. 연합국에 독자적인 사절을 보내 독일국 임시 총리 프리드리히 에베르트와 대립했고, 민족주의자들로부터 "배신자"로 비난받았다.
1919년 1월, 독일 공산당이 뮌헨에서 봉기를 시도했으나 실패했고, 아이스너는 공산당 지도자들을 체포했다가 석방하는 등 좌익으로부터도 비판받았다. 공산주의자들은 아이스너를 기회주의자로 여겼고, 좌우 양측으로부터 비판받는 상황에서 아이스너의 능력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었다.
4. 암살과 유산
쿠르트 아이스너는 1919년 2월 21일 뮌헨에서 독일 민족주의자 안톤 그라프 폰 아르코 아우프 발리에게 암살당했다. 이 사건으로 바이에른 인민 공화국은 혼란에 빠졌고, 바이에른 소비에트 공화국이 수립되었다.
아이스너는 뮌헨 '오스트프리드호프'에 묻혔다. 1922년 그를 기리는 기념비가 세워졌으나, 나치에 의해 파괴되었다. 이후 기념비는 복원되었고, 아이스너의 유골은 신유대인 묘지로 옮겨졌다. 1989년에는 아이스너가 암살된 장소에 기념비가 설치되었다.
1920년 파사우에서는 아이스너에 관한 연극 상연을 국방군 군인들과 고등학생들이 군사 무기를 사용하여 방해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 사건은 '파사우 극장 스캔들'로 불리며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19]
4. 1. 암살
1919년 1월 12일에 실시된 바이에른 주 의회 선거에서 아이스너가 이끌던 독립사회민주당은 2.5%의 득표율로 참패하여, 아이스너는 사임을 강요받았다.[11] 1919년 2월 21일, 쿠르트 아이스너는 바이에른 주의회에 사임서를 제출하러 가던 중 독일 민족주의자이자 극우 단체 '툴레 협회' 소속의 안톤 그라프 폰 아르코 아우프 발리 백작에게 암살당했다.[11] 아이스너는 뮌헨에서 등 뒤에서 총을 맞아 즉사했다.[11]아르코-발리는 1920년 1월 살인 혐의로 재판을 받아 사형을 선고받았으나, 곧 종신형으로 감형되었다.[13] 그는 란츠베르크 감옥에서 복역하다 1925년에 석방되었고, 1927년까지 보호 관찰을 받았다.[14]
아이스너의 암살로 인해 바이에른 인민 공화국의 선출된 정부는 뮌헨에서 도망쳤고, 바이에른 소비에트 공화국과 의회가 수립되었다.[12] 아이스너의 죽음은 뮌헨 혁명을 더욱 격화시켜 극좌 세력에 의한 소비에트 공화국 수립과 독일 의용군에 의한 보복으로 이어졌다.
아이스너의 장례식에는 수천 명의 조문객이 참석하여 그의 죽음을 애도했으며,[16] 아돌프 히틀러도 그 자리에 있었다.[17][18]
1989년, 아이스너가 암살된 현장의 보도에는 기념비가 설치되었다. 기념비에는 "1918년 11월 9일 바이에른 공화국을 선포하고, 바이에른 공화국의 총리를 지낸 쿠르트 아이스너는 1919년 2월 21일 이곳에서 암살당했다"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20]
4. 2. 암살 이후
쿠르트 아이스너는 1919년 2월 21일 뮌헨에서 독일 민족주의자 안톤 그라프 폰 아르코 아우프 발리(이하 아르코-발리)에게 등 뒤에서 총을 맞아 암살당했다. 당시 아이스너는 바이에른 주의회에 사임서를 제출하러 가는 길이었다.[11] 그의 암살로 바이에른 인민 공화국의 선출된 정부는 뮌헨에서 도망쳤고, 단명한 바이에른 소비에트 공화국과 의회가 수립되었다.[12]아르코-발리는 1920년 1월 살인 혐의로 재판을 받고 사형을 선고받았으나, 종신형으로 감형되었다. 검사는 그에 대해 "만약 모든 독일 청년들이 그와 같은 뜨거운 열정을 가졌다면 우리는 미래를 자신 있게 맞이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라고 말했다.[13] 그는 란츠베르크 감옥에서 복역했고, 1924년에는 아돌프 히틀러를 위해 감방에서 쫓겨났다. 1925년에 석방되었고, 1927년까지 사면을 받기 전까지 보호 관찰을 받았다.[14] 1945년 6월, 아르코-발리는 잘츠부르크에서 교통사고로 사망했다.[15]
아이스너의 장례식에는 수천 명의 조문객이 참석했다.[16] 아돌프 히틀러도 참석했는데, 아이스너의 장례식 영상에서 히틀러는 아이스너를 애도하는 검은 완장과 뮌헨의 사회주의 혁명을 지지하는 붉은 완장을 함께 착용하고 있었다.[18]
1989년, 아이스너 암살 현장에는 "1918년 11월 9일 바이에른 공화국을 선포하고, 바이에른 공화국의 총리를 지낸 쿠르트 아이스너는 1919년 2월 21일 이곳에서 암살당했다"라는 문구가 새겨진 기념비가 설치되었다.[20]
4. 3. 유산과 평가
뮌헨의 암살 현장에는 아이스너를 기리는 기념비가 설치되어 있다. 기념비에는 "1918년 11월 9일 바이에른 공화국을 선포하고, 바이에른 공화국의 총리를 지낸 쿠르트 아이스너는 1919년 2월 21일 이곳에서 암살당했다"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다.[20]아이스너의 유해는 뮌헨 '오스트프리드호프'에 안장되었다. 1922년 5월 1일 뮌헨 자유 노조는 "혁명의 죽은 자들"을 기리는 기념비를 만들었고, 아이스너의 유골 항아리는 기념비 받침대에 안치되었다. 나치 집권 직후 혁명 기념비는 파괴되었고, 1933년 6월 22일에 철거되었다. 이후 아이스너의 유골 항아리는 신유대인 묘지로 옮겨져 현재까지 그곳에 묻혀 있다. 오스트프리드호프의 기념비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예술가 콘스탄틴 프리크가 원본을 충실하게 복제하여 다시 제작되었다.
5. 저작
- 《정신병적 영성》(Psychopathia Spiritualis, 1892)[8]
- 《융커 반란》(Eine Junkerrevolte, 1899)[8]
- 《빌헬름 리프크네히트》(Wilhelm Liebknecht, 1900)[8]
- 《축제가 없는 자들의 요새》(Feste der Festlosen, 1903)[8]
- 《새로운 시대》(Die Neue Zeit, 1919)[8]
참조
[1]
웹사이트
Kurt Eisner – Encyclopædia Britannica
http://www.britannic[...]
2007-11-04
[2]
웹사이트
The German Revolution's Bloody End
https://jacobinmag.c[...]
[3]
서적
unnamed
unnamed
[4]
뉴스
Eisner, A Great Loss
New York Tribune
1919-02-25
[5]
간행물
Eisner, Kurt
[6]
서적
Kurt Eisner: 1867–1919. Eine Biografie.
unnamed
[7]
웹사이트
Obituary for Kurt Eisner in Justice 1919
http://www.marxists.[...]
2011-11-05
[8]
간행물
Eisner, Kurt
[9]
서적
The Coming of the Third Reich
[10]
간행물
Clio Deceived: Patriotic self-censorship in Germany after the Great War
http://www.lackenbau[...]
2017-12
[11]
서적
Famous Assassinations in World History: An Encyclopedia [2 volumes]
https://books.google[...]
ABC-CLIO
2014-04-17
[12]
서적
The Third Reich: A New History
Hill and Wang
[13]
웹사이트
propaganda: III Reich 3
http://www.cultsock.[...]
Cultsock.ndirect.co.uk
2014-08-12
[14]
서적
Famous Assassinations in World History: An Encyclopedia [2 volumes]
https://books.google[...]
Abc-Clio
2014-04-17
[15]
서적
Der Anfang, der ein Ende war. Die Revolution in Bayern 1918/19
Aufbau
[16]
웹사이트
Die Trauerfeierlichkeiten am 26. Februar 1919 für den verstorbenen Ministerpräsident Kurt Eisner (Teil 1) / Die Feierlichkeiten anläßlich des Begräbnisses von Kurt Eisner (Teil 2)
https://www.bavariko[...]
2023-06-08
[17]
서적
Hitler – Eine Bilanz
https://archive.org/[...]
Orbis-Verl
[18]
서적
Hitler's First War
https://archive.org/[...]
Oxford University Press
[19]
서적
Hitlers Nibelungen
Samples Grafenau
[20]
서적
Geschichte zwischen Kunst und Politik
https://books.google[...]
Herbert Utz Verlag
[21]
웹사이트
Kurt Eisner – Encyclopædia Britannica
http://www.britannic[...]
[22]
간행물
Eisner, Kurt
[23]
서적
The Coming of the Third Reich
[24]
간행물
‘Freistaat Bayern’: Metamorphosen eines Staatsnamen.
http://www.ifz-muenc[...]
[25]
웹사이트
The German Revolution's Bloody End
https://jacobinmag.c[...]
[26]
웹사이트
Kurt Eisner – Encyclopædia Britannica
http://www.britannic[...]
2007-11-04
[27]
서적
unnamed
unname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